<p></p><br /><br />국회가 도청의 위협에 노출돼 있는 것이 확인됐습니다. <br><br>국회 안에는 도청 탐지 설비를 갖추지 못한 장소가 많은데다 최신 도청장비를 탐지하기에는 역부족이었습니다.<br><br>강병규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<br><br>[기사내용]<br>국회 의장, 부의장실 일부 상임위원장실 등 국회 주요 회의실에는 도청을 막기 위한 고정식 탐지기가 설치돼 있습니다.<br><br>누군가 도청기를 숨겨놓으면 바로 탐지해 국회 사무처로 알려주는 겁니다.<br><br>그런데 국회 주요 회의실 30곳 중 이렇게 탐지기가 있는 곳은 14곳으로 절반도 채 안 됩니다.<br><br>안보 기밀을 다루는 정보위원장실에도 탐지기가 없고, 국방위와 외통위 위원장실에는 2주 전쯤에서야 설치됐습니다. <br><br>[정보위원회 관계자] <br>"(국방이랑 외교는 설치가 돼 있더라고요?) 그거하고 같이 하려는 거지. 같이 하는거예요."<br><br>탐지기 설치 관련 규정이 없다보니 국회 사무처에서 요청한 곳에만 탐지기를 달아준 겁니다. <br><br>하지만 설치된 고정식 탐지기는 기술적 제약으로 와이파이나 블루투스를 기반으로 한 도청기기는 찾아내지 못합니다.<br><br>이동식 탐지기로만 잡아낼 수 있는데 국회에는 1대 뿐입니다.<br><br>국회 관계자는 "이동식 탐지기 구입과 인력 운용에 1억원 정도 든다"며 "1대만 추가해도 대비가 쉬워진다"고 말합니다. <br><br>국회 사무처는 최근에서야 탐지기 설치 근거와 운용 방안을 담은 규정 마련에 들어갔습니다.<br><br>국회는 내년 예산에서 도청탐지장비 명목으로 1억 7천 6백만 원을 확보한 만큼 실효성 있는 예산 집행이 요구됩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강병규입니다. <br>ben@donga.com<br><br>영상취재: 김기열 박희현<br>영상편집: 오성규 <br>그래픽: 박진수